포스코 케미칼 주가 전망
이베스트 투자 증권 뼛속시리즈 ev배터리.pdf
1.64MB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내 주식 2차 전지 관련주 포스코케미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포스코케미칼 요즘 정말 핫한 주식이죠.
포스코케미칼 뿐만 아니라 LG화학, 삼성sdi 등 완성 배터리부터
에코프로비엠, 천보 등 2차 전지 관련주 모두가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이 부각되면서 이제 배터리는 거스를 수 없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데요.
이 많은 주식들 중에서 2차전지 재료분야 대장주를 맡고 있는 포스코케미칼은
과연 어떤 기업인지 차트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여러분이 이해하기 쉽게 최대한 간추려서 말씀드리는 것이니
조금 더 자세하게 알고 싶으신 분들은 위 첨부파일을 다운로드하셔서
한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목차
1. EV 배터리란?
2. 포스코케미칼에 대해서
3. 포스코케미칼 차트 분석 

 

1. EV 배터리란?

리튬 이온 배터리 충방전 원리. 출처=삼성SDI 출처 : 이코노믹리뷰(https://www.econovill.com)

EV 배터리는 흔히 리튬 이온 배터리라고 말하며 쉽게 생각해서 자동차에 들어가는 배터리를 말합니다.
배터리의 원리에 대해서 먼저 말씀을 드리자면
이 공식 하나만 외우시고 있으셔도 됩니다.

- Wh(에너지) = V(전압)xI(전류) xT(시간), Ah(용량) = I(전류)x T(시간), Wh/Ah(에너지 밀도) ≒ V(전압)

이 식 하나가 리튬이온 배터리(EV 배터리)를 모두 설명하는 거나 다름없습니다.
전위차는 전압을 이야기하며 전압은 에너지 밀도를 의미합니다.
에너지 밀도는 자동차의 동력을 의미하기 때문에 많은 배터리 연구원들의 연구 목적은
에너지 밀도를 어떻게 높이느냐입니다.

즉 에너지 밀도 높이기 -> 전압 높이기 -> 전위차 확대하기-> 음극재 전위를 낮게 혹은 양극재 전위를 높게
맨 마지막 음극재, 양극재를 컨트롤하는 게 목표입니다.

 


그렇다면 양극재를 어떻게 컨트롤할까?
리튬이온 배터리는 LiCoO2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Li(리튬), Co(코발트), O2(산소)로 각자의 역할이 있는데

리튬 : 양-음극을 오가면서 전하 용량을 결정
전이금속 : 산화환원 반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
산소 : 결정구조를 유지해 줄 프레임 역할
 
이렇게 나누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저 셋 중에 리튬과 산소는 고정값이므로
전이금속을 이용해서 양극재의 연구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연구 ->양, 음극재를 컨트롤하기->양극재일 경우 전이금속을 연구
라고 볼 수 있으며
즉 양극재의 전이금속을 연구하여 얼마나 더 효율적인 소재를 만들어 내냐가 주요 포커스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양극재의 경우 이론상 효율을 낼 수 있는 맥시멈에 다 다랐다 보며 지금은 많은 배터리 기업들이
음극재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정도만 이해하셔도 얼추 기업이 무얼 하고자 하는지, 어떤 뉴스가 떴을 때 크게 반응을 줄 수 있는지
골라낼 수 있으실 겁니다.

 

2. 포스코케미칼에 대해서

 

현재 포스코케미칼은 국내 2차 전지 관련주중 대장이라고 말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내화물 및 라임케미칼 부문의 성장과 함께 2차 전지 소재 부문의 실적 성장이 두드러질 것으로 판단하고
LG화학향 공급 증가에 따른 광양 2단계 가동률 상승에 기반해 양극재 매출 성장이 특히 두드러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 외 포스코케미칼은 계속해서 공장을 증축하고 신설하는 등 공격적인 투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포스코의 미래 성장동력임을 증명하듯이 많은 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계속해서 대기업들과의 공급 체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배터리 원료를 생산하는 기업인만큼
배터리 완성품 회사의 경쟁률이 높아진다고 하더라도 배터리 원료 공급량은 계속해서 늘어나기 때문에
미래를 낙관적으로 볼 수가 있습니다.

 

3. 포스코케미칼 차트 분석

오늘자로 2020. 12. 03 기준 포스코 케미칼은 전 고점까지 강력하게 상승을 했으나 전고점을 뚫지 못한 채 마감을 한 상태입니다. 80,000~70,000원 사이에서 지지 블록의 지지를 받고 강력하게 상승을 해주었는데요.

포스코케미칼의 경우 별다른 악재도 없을뿐더러 2차 전지는 멀리 보더라도 앞으로 좋은 일 만 남았기 때문에
지지선에서 지지를 해준다 싶으면 매수를 해서 모아가도 좋을 거 같아 보입니다.

하지만 스윙이나 단기적 관점으로 보았을 때는 이미 지지 부근에서 높게 30% 이상 높게 올라온 상태이며
평행 추세의 저항 부근과 전고점의 저항 부근에 맞닿여 있기 때문에 섣불리 매수를 진행해서는 안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같은 경우는 보유자의 영역이며 고점을 뚫을 경우 계속해서 홀딩을 유지하거나 현재 반을 수익 실현하고 
나머지 반을 홀딩하는 등 여러 가지 전략이 나올 수가 있겠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